장혜영 "비은행 중심 늘어…거시경제금융회의 등에서 살펴야"
(서울=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저금리 속에 집값 상승세가 계속되며 부동산 금융에 몰린 돈이 2천100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집값이 급락하거나 금리가 상승하면 부실화해 실물 경제의 뇌관으로 작용할 우려가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부동산 자금(CG)](https://img8.yna.co.kr/photo/cms/2016/10/17/01/C0A8CA3D00000157D10D36440004BBDA_P4.jpeg)
[연합뉴스TV 제공]
20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정의당 장혜영 의원이 한국은행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위험노출액) 잔액은 2천105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금융 익스포저는 가계 및 부동산 관련 기업에 대한 여신과 부동산 관련 금융투자상품에 투입된 자금을 말한다.
부동산 익스포저는 2010년 879조7천억원으로 1천조원을 밑돌았지만, 꾸준히 증가하며 작년 2천62조4천억원으로 사상 처음 2천조원을 돌파했다.
올해 1∼3월 3개월 동안에는 작년 한 해 증가액(145조2천억원)의 30% 수준인 42조9천억원이 늘었다.
특히 규제가 강화된 가계 여신 비중은 줄어든 반면, 부동산 펀드·리츠(REITs) 등 부동산 관련 금융투자상품을 중심으로 늘었다.
1분기 기준 가계 여신은 1천95조1천억원(52.0%)으로 비중이 작년 대비 0.2%포인트 줄었지만, 금융투자상품은 245조2천억원(11.6%)으로 0.6%포인트 늘었다.
부동산 익스포저 중 금융기관이 최종 리스크를 부담해야 하는 규모는 1천147조6천억원으로 나타났다.
은행은 669조9천억원, 비은행권은 477조7천억원이었다.
장 의원은 상대적으로 관리·감독이 느슨한 비은행의 비중이 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전체 금융기관 부동산 익스포저 중 비은행의 비중은 2010년 30.0%였지만, 올해 1분기에는 41.6%까지 늘었다.
![장혜영 의원](https://img1.yna.co.kr/photo/yna/YH/2020/08/13/PYH2020081309120001300_P4.jpg)
[연합뉴스 자료사진]
장 의원은 "부동산 금융은 부동산 가격이 급락하거나 금리가 급상승하는 등 리스크 발생 시 실물 경제로 위험이 전이되는 뇌관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며 "당국은 비은행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거시경제금융회의 등에서 각별히 살필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2vs2@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2020/08/20 06:00 송고
August 20, 2020 at 04:00AM
https://ift.tt/2YgQMEE
부동산금융에 몰린 돈 2천100조…"실물경제 뇌관 우려" - 연합뉴스
https://ift.tt/2zrI8K6
Bagikan Berita Ini
0 Response to "부동산금융에 몰린 돈 2천100조…"실물경제 뇌관 우려" - 연합뉴스"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