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대학가 反조국 확산…서울대생 98% 법무장관 부적합 - 매일경제

대학가 反조국 확산…서울대생 98% 법무장관 부적합 - 매일경제

최근 서울대에서 열린 촛불집회 모습. [사진 = 연합뉴스]
사진설명최근 서울대에서 열린 촛불집회 모습. [사진 = 연합뉴스]
논문 특혜, 장학금 특혜 등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딸 조 모씨(28)에 대한 의혹이 연이어 불거진 가운데 대학가에서 후보자 사퇴와 진상 규명을 촉구하는 등 분노의 목소리가 갈수록 거세지고 있다. 서울대 고려대 부산대 등 조 후보자나 딸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비판 여론이 들불처럼 번지면서 지금까지 여권의 대표적 지지자였던 20대와 학생사회가 앞장서서 여권을 압박하는 모양새다.

26일 서울대 총학생회는 조 후보자의 사퇴를 촉구하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서울대 총학이 조 후보자에 대한 사퇴 입장을 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울대 총학은 `조국 교수의 법무부 장관 후보자 사퇴를 촉구한다`는 제목의 입장서를 인준해 이날 오전 페이스북 페이지 등에 게시했다. 입장서에는 "서울대 구성원들은 조국 후보자에게 제기되고 있는 여러 의혹에 대해 분노와 실망감을 표출하고 있다"며 "원칙과 상식이 지켜지는 나라, 정의가 살아있는 사회를 위해 서울대 총학생회는 조국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사퇴를 강력하게 촉구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서울대 총학은 "자신에게 제기되는 의혹들에 대해 `법적인 문제는 없다`고 말하며 후안무치의 태도로 일관하는 조국 교수가 법무부 장관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며 "사회적 부조리와 비상식에 대한 학생 구성원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것은 총학생회의 당연한 책무"라고 덧붙였다.

조 후보자의 모교이자 조씨가 석사 과정 대학원생으로 입학했던 서울대에선 총학 중심의 조직적인 대응이 본격화했다. 총학은 조 후보자 관련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지난 25일 총학 운영위원회에서 논의했고, 그 결과 지난 23일 열렸던 1차 촛불집회에 이어 28일 총학생회 주도의 제2차 촛불집회를 집행하기로 했다. 총학은 해당 촛불집회가 정치적으로 변질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해 학생증, 졸업증명서 등을 통해 집회 참가자들의 서울대 구성원 여부를 확인하기로 했다.

서울대 학생 등 구성원들도 조 후보자가 법무부 장관으로 적합하지 않다는 목소리를 지속적으로 내고 있다.

이날 서울대 학생 커뮤니티인 `스누라이프`에 따르면 `조국, 법무부 장관으로 적합한가`란 투표에서 투표 참가자 중 약 98%가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지난 25일 올라온 해당 투표는 26일 오후 3시 기준 2151명이 참가했고 △전혀 적합하지 않음(2042명, 94.9%) △적합하지 않은 편(64명, 3%) 등 부정적 답변이 절대 다수였다. 그다음으로 △매우 적합(32명, 1.5%) △적합한 편(7명, 0.3%) △모름(6명, 0.3%) 순서였다.

조 후보자 딸이 고등학교 재학 당시 의학논문에 등재된 점 등이 입학 과정에 유리하게 작용한 것 아니냐는 논란이 불거진 고려대에서도 총학이 조 후보자 딸의 입학 과정을 둘러싼 의혹에 대응하기로 결정했다. 26일 고려대 총학은 중앙운영위원회에서 `조 후보자 자녀의 입학 관련 의혹 대응`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총학은 1차 촛불집회 집행부 측 제안을 받아들여 총학 차원에서 해당 의혹에 공식 대응하겠다는 방침을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고려대 1차 촛불집회 집행부 측은 "총학생회가 1차 집회 집행부의 핵심 가치를 계승해 집회를 이어가기로 결정했다"며 "앞으로 집회를 이끌어 갈 고려대 총학생회를 응원한다"고 밝혔다.

1차 집회 집행부 측이 밝힌 핵심 가치에는 △자유·정의·진리를 추구하는 고려대의 이념·명예에 관련된 집회 △객관적 사실에 근거한 집회 △진영논리에서 벗어난 보편적 가치 지향 △학생들의 정당한 분노 대변 등이 포함됐다. 고려대 총학생회는 이를 수용하는 데 만장일치로 동의했다. 2차 촛불집회 개최 여부와 시기, 방법 등은 추후 논의를 통해 정해질 예정이다. 앞서 지난 23일 고려대에선 조 후보자 딸의 입학 과정에 대한 진상 규명을 촉구하는 촛불집회가 열렸다.

아직 대학교 방학이 끝나지 않았고, 집회 집행부 자체도 학내 기구에 소속되지 않은 개별 재학생·졸업생으로 구성돼 조직력이 부족하다는 평가가 나오는 상황이었지만, 집회에는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로 500여 명이 모였다.

한편 조 후보자의 딸이 의학전문대학원생으로 재학 중인 부산대에서도 28일 장학금 특혜 의혹 등에 대해 진상 규명을 촉구하는 촛불집회가 일부 재학생 주도로 열릴 예정이다.

대학가에서 이 같은 움직임이 이어지는 것을 두고 전문가들은 이번 의혹이 공정성에 민감한 청년 세대의 반발심을 자극했다고 분석했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사회적 출발선이 다르다는 게 어떤 차이를 낳는지 학생들이 이번에 실체적으로 느끼게 된 것 같다"며 "아무리 노력해도 좁히기 어려운 출발선상의 문제에 대해 청년층이 집단적인 반발심을 가지게 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문광민 기자 / 박윤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Let's block ads! (Why?)



2019-08-26 08:39:39Z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9/08/665123/

Bagikan Berita Ini

Related Posts :

0 Response to "대학가 反조국 확산…서울대생 98% 법무장관 부적합 - 매일경제"

Post a Comment

Powered by Blogger.